안녕하세요.
"세상 모든 이야기"를 나누는 세모이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TV에서 많은 아이의 훈육 프로그램을 보실 수 있을텐데요.
보시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자립심이 강한 아이로 자랄 수 있을까?라고
많이들 스스로에게 질문을 하셨을꺼라 생각 됩니다.
자립심 즉 부모로써의 역활로 최종 목표는 자립 즉 아이가 스스로 독립하여
살아 갈수 있도록 그 동안 보살피는게 역활이라 생각 됩니다.
언제까지나 부모가 아이를 평생 보살펴 줄 수 없기 때문에 같이 생활 하는동안
아이에게 자립심을 심어 주는게 다른 어느 교육보다 중요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저는 자립심을 키우기 위한 내용을 정리하여 주관적 생각을
공유 드리오니 제 의견에 공감 하시면 꼭 실천 하셔서 좋은 부모로써의
역활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자립심이란?
자립심이란 단어는 사전에서는 "남에게 예속되거나 의지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서려는 마음가짐"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저는 자립이라는 단어가
우리 아이들에게 적용 하면 "스스로 살아 가는 힘"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2. 자립심 강한 아이로 키우는 7가지 원칙.
1) 끝까지 기다려 주세요.
모든지 처음은 서툴기 마련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할 때 옆에서 지켜보면서 끝까지 기다려주세요.
2) 완벽함을 바라지 마세요.
너무 많은 걸 바라면 아이가 의욕을 잃을 수 있으니 완벽함을 바라지 마세요.
아이는 아직 세상을 배워가는 단계예요.
3) 귀 기울여 주세요.
아이가 말하는 한마디 한마디에 귀기울여 주세요.
경청하는 사람이 없다는 것은 아이의 혼잣말일 뿐이에요.
4) 질문하고 설명해주세요.
아이는 모르는게 많아요.질문하고 설명해주세요.
하나 하나 배워가는 과정일 뿐이에요.
5)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해주세요.
칭찬은 아이에게 자신감을 주고 위로는 아이에게 용기를 줄거에요.
긍정적인 말을 많이 해주세요..
6) 선택과 책임감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선택 하고, 그에 따른 책임감을 알려주세요.
아이는 자기가 선택한 것에 대해 좀더 신중한 선택을 하게 될거에요.
7) 짜증을 내거나 화를 내지 마세요.
아이를 훈육할때 감정이 아닌 의미를 담아서 이야기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충분한 생각할 시간을 주는 것도 좋아요.
"부모는 멀리보라하고, 학부모는 앞만 보라 합니다.
부모는 함께가라하고, 학부모는 앞서 가라 합니다.
부모는 꿈을 꾸라 하고, 학부모는 꿈꿀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3. 개인적 의견
모든 부모님들께서 아이들이 자립심이 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어 하실거라
생각 됩니다. 저 또한 그러하기에 어떻게 하면 자립심이 강한 아이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여러 자료를 찾아보고 제가 생각하는
원칙들을 정리하여 공유 해보았습니다.
원칙들을 정리하면서 저 또한 많은 반성을 하였고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2023년 2가지 육아 목표를 설정해 보았습니다.
첫째,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잘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지금
아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할 겁니다. 많은 경험을
통해서 아이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같이 찾아 주고자 합니다.
둘째, "아이가 잘하는 것을 좋아 할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지금 잘하고
있는 것들에 대해서 칭찬하고 아이가 좀더 즐겁게 좋아 할수 있도록
해주고자 합니다.
다들 엄마, 아빠로써의 역활이 처음이시기에 많이 서툴고 부족하다고
생각 하실겁니다. 저 또한 부족한 부모이고요.
완벽한 아이가 없듯이 완벽한 부모도 없을 겁니다.
완벽한 부모보다는 아이와 함께 같이 성장하는 진정한 부모님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해당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 "세상 모든 이야기"의 세모이 주인장이었습니다.
'세모이 좋은 부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예상 키?(키 예상 계산기) (0) | 2022.12.26 |
---|
댓글